이제 겨우 8살인 우리 아이가 자주 "원래 그건
OO 해", "옛날부터 OO..."란 말을 사용한다.
나는 이런 '원래'라는 말을 쓰는데 주저하는데(확실치가 않아서), 우리 딸은 서슴없이 사용한다. 또는 가끔 이제 막 사회 생활을 시작한 친구들도 이런 말을 서슴없이 사용해서 나를 당황하게 만든다.
그런데, 이 "원래"라는 단어는 엄청난 힘을 갖고 있다.
내가 만일 우리집에서 청소는 도맡아 한다면 우리 딸은 "집 청소는 원래 아빠가 하는거야"라고 인지한다. 내가 청소하게되는 그 과정까지가 어렵지만 어느 순간부터는 그것은 원래(Origin)가 되어 간다.
개발자로 생활하다 보면 '원래' 10시 퇴근은 기본이다. 가끔 비합리적이거나 부당한 요구를 누군가에게 하고 싶다면 이 '원래'를 사용하면 편하다. 새로 들어온 신입사원에게 '원래부터 이쪽은 이래'라면 별로 충격없이 받아들이고 노력한다.
하지만, 이 원래의 힘을 좀더 오랫동안 그리고 바람직하게 사용하고 싶다면 합리적이고 설득력이 있어야 할것이다. 어쩌면 이것이 "전통"이란 것을 만들어 가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나는 이런 '원래'라는 말을 쓰는데 주저하는데(확실치가 않아서), 우리 딸은 서슴없이 사용한다. 또는 가끔 이제 막 사회 생활을 시작한 친구들도 이런 말을 서슴없이 사용해서 나를 당황하게 만든다.
그런데, 이 "원래"라는 단어는 엄청난 힘을 갖고 있다.
내가 만일 우리집에서 청소는 도맡아 한다면 우리 딸은 "집 청소는 원래 아빠가 하는거야"라고 인지한다. 내가 청소하게되는 그 과정까지가 어렵지만 어느 순간부터는 그것은 원래(Origin)가 되어 간다.
개발자로 생활하다 보면 '원래' 10시 퇴근은 기본이다. 가끔 비합리적이거나 부당한 요구를 누군가에게 하고 싶다면 이 '원래'를 사용하면 편하다. 새로 들어온 신입사원에게 '원래부터 이쪽은 이래'라면 별로 충격없이 받아들이고 노력한다.
하지만, 이 원래의 힘을 좀더 오랫동안 그리고 바람직하게 사용하고 싶다면 합리적이고 설득력이 있어야 할것이다. 어쩌면 이것이 "전통"이란 것을 만들어 가는 것일지도 모르겠다.